명화감상

명화감상 (3) - 반 데르 바이덴

펜보이 2008. 2. 16. 23:24
 

                         

                          1460-64년경, 판 위에 유채, 113x83cm,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명작명품 세계 순례 - 로지에 반 데르 바이덴

 

 “수태고지”


  세계미술사에서 보면 스승과 제자의 작품을 구별하지 못할 정도로 유사한 일이 적지 않아 전문 감정가들조차 곤혹스러워 한다.  플랑드르파의 성립 초기에 활약한 로베르 캉팽과 그의 제자 반 데르 바이덴의 관계가 그러하다.  테크닉은 고사하고라도 인물의 해석에서조차 이 두 사람의 작품은 유사점이 너무도 많다.  반 데르 바이덴이 스승보다 유명해진 탓에 캄핑의 작품이 바이덴의 초기 작품으로 오해되는 일도 있을 정도였다.

  로지에 반 데르 바이덴(1399,1400-1464)은 네덜란드 투르네(현재 벨기에 서부) 출신으로 조각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따라서 어린시절에는 자연스럽게 아버지 밑에서 조각 기술을 익혔다.  후일 화가가 되어 조각과 같이 견고한 조형성을 특징으로 내세울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경험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그는 조각보다는 그림에 대한 열망이 컸던 까닭에 1427년 캉팽의 문하에서 그림을 배우게 된다.  워낙 타고난 재능 덕에 그는 5년만에 투르네 화가조합에 등록할 만큼 뛰어난 실력을 갖추게 된다.  그런데 도제교육이 그렇듯이 스승의 화법을 익혀 능숙하게 구사하게 됨으로써 그 또한 초기 작품은 스승과 구별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이는 캄팽에 필적하는 실력의 소산일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화풍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밑거름이라는 점에서 보면 그의 작가적인 앞날을 예견할 수 있는 지표인 셈이기도 하다.

  1935년 브뤼셀시로 이주한 다음 해 브뤼셀시 공인화가로 임명받은 그는 곧바로 시청사의 ‘正義圖’(정의도. 현존하지 않음)를 그리는 등 명성을 쌓는다.  그리고 1449년 일년여에 걸쳐 로마와 페라라의 에스터를 여행하고 돌아온다.  이 여행은 그에게 견문을 넓히는 기회가 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림에 대해서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오히려 그가 이탈리아 여행을 계기로 플랑드르파의 화풍을 유럽 여러 나라에 전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후 피렌체의 메디치가의 요청으로 ‘프란체스코 데스테 초상화’와 ‘성모자상’을 그리는 등 그의 이름은 국경을 뛰어넘게 된다.

  유채법의 대성자 얀 반 아이크 형제와 동시대를 살았던 그였기에 선배인 이들로부터의 유채화의 기법적인 영향을 뿌리칠 수는 없었다.  그러나 그는 새로움보다는 오히려 전통을 좇아 고딕회화 양식을 완결짓는 쪽을 택했다.  종교적인 주제에 심취하여 형식적인 면보다는 정신적이고 심리적이며 상징적인 메시지를 중시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조각적인 엄격성과 정밀한 형태묘사 그리고 선명하고 풍부한 색채는 그만의 조형세계를 자립케 하는 요소이다.

  그는 이쯤에서 이미 내면적인 표현의 묘를 깨우치고 스승 캉팽을 능가하게 된 것이다.

  “수태고지”에서 알 수 있듯이 바이덴의 형태 감각은 현실적이다.  이처럼 현실적인 눈으로 세상을 보면서 빛과 색채로 이를 재현한 미적 탐구정신은 후에 많은 추종자를 낳거니와, 여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명료한 윤곽과 정밀한 세부 묘사, 조각적인 효과, 엄격한 구성은 후기 고딕회화 양식의 결산이라고 할만 하다.  이같이 엄격한 구성임에도 시각적인 개방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창을 통해 내다보이는 바깥 풍경 덕분이다.  책을 쥐고 있는 성모와 아래쪽에 놓인 백합 화병, 그리고 천사는 전형적인 ‘수태고지’의 성립 요건이다.  창 위쪽에 열쇠 모양의 문장은 드 크루니가임을 말하고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은 ‘클루니가의 수태고지’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특이하게도 천사의 복장이 祭服(제복)이어서 인상적이다.  이런 이유를 들어  1470년 이후의 메믈링의 작품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미술평론가 신항섭>